JSTL IF문
JSTL에서 사용하는 IF문을 정리해 놓으려 한다.
기본적으로 JSTL을 사용하는데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.
<%@ taglib uri="http://java.sun.com/jsp/jstl/core" prefix="c" %> |
IF문을 사용하는 방법은 몇가지로 구분된다.
1.<c:if>
<c:set var="abc" value="001" /> <c:if test="${abc eq '001'}"> abc는 001입니다. </c:if> |
2.<c:choose>
<c:set var="abc" value="001" /> <c:choose> <c:when test="${abc eq '001'}"> abc는 001입니다. </c:when> <c:otherwise> abc는 001이 아닙니다. </c:otherwise> </c:choose> |
3. eq, ne, empty
<c:set var="abc" value="001" /> <c:if test="${abc eq '001'}"> abc는 001입니다. </c:if> <c:if test="${abc ne '002'}"> abc는 002가 아닙니다. </c:if> <c:if test="${empty abc}"> abc 변수는 정의되지 않았습니다. </c:if> <c:if test="${!empty abc}"> abc 변수가 정의되어 있습니다. </c:if> |
기호에 맞춰 사용하면 되겠다.